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3)
P.M Must Read 02 :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vol.01 오늘 번역할 글은 이미 테크 씬에서 너무 유명한 명불허전 Ken Norton의 가장 유명한 에세이인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입니다. 구글에서 PM 으로 근무하면서 우리가 현재 쓰고있는 Google Docs, Google Calendar 및 Google Mobile Maps 팀에서 일했습니다. (그냥 레전드..) How to Hire a Product Manage The classic essay that defined the product manager role https://www.bringthedonuts.com/essays/productmanager.html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What makes a great product manag..
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2 https://nevermind22.tistory.com/23 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1 P.M Must Read 새롭게 시작한 컨텐츠다..! 세상에는 정말 좋은 블로그들이 많다. 하지만 대부분 원문으로 되어 있어서 읽을려고 다짐해도 귀찮아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금은 영어공부와 nevermind22.tistory.com 검증된 전략이 마련되어 있으면(그림 2를 통해 전략을 검증) 우린 이제 실현가능한 제품 로드맵을 구축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림 1의 로드맵은 향후 6-12개월 동안 프로덕트 전략의 실행을 설명하며 제품이 달성할 특별한 이점을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주와 개발팀을 조율(aligns)한..
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1 P.M Must Read 새롭게 시작한 컨텐츠다..! 세상에는 정말 좋은 블로그들이 많다. 하지만 대부분 원문으로 되어 있어서 읽을려고 다짐해도 귀찮아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금은 영어공부와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기에 이둘을 동시에 할수 있는게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이 컨텐츠를 생각했다. 컨텐츠는 아주 단순하다.. 내가 직접 큐레이션한 PM으로써 읽으면 좋은 글들을 번역하고 이에대한 나의 생각을 덧붙이고자 한다. (말이 큐레이션이지 그냥 번역싸게다.. ) 번역을 하는데 있어 괄호안에 있는 글은 나의 사견임을 밝힌다 첫번째 블로그는 https://www.romanpichler.com/ Expert Training and Consulting in Product Management Fi..
출국부터 맬버른에서 일주일간 호주온지 10일이 지났다. 이제 쫌 여기 생활에 적응을 하는거 같아 이렇게 글을 적어보기로 했다. 출국일자는 12월 28일 이었다 인천 -> 상하이 -> 맬버른 으로 가는 비행기로 중국동방항공을 이용했다 1년동안 해외에 있기에 걱정이 많았다. 물론 옆에 있는 동생은 별 걱정없이 빨리 면세 들어가서 선글라스 살 생각뿐이었지만.. 오히려 그런 동생을 보면서 나도 긴장이 풀린거 같다. 선글라스를 사고 1시간동안 커피나 홀짝이며 기다렸다. 중국동방항공이 딜레이가 많다고 해서 걱정했는데 그런거 전혀 없었다. 정시에 딱 맞춰 출발했고 승무원 분들도 너무 친절하셨다 짧은 비행시간 임에도 불구하고(2시간) 기내식이 나왔다. 볶음김치와 밥 그리고 케이크와 빵을 주었는데 케이크와 빵은 정말 먹을만 했지만 볶음김치는 생각보..
일잘러의 마인드셋, 이나모리 가즈오 '왜 일하는가' 를 읽은 뒤 여러분들은 진짜 일을 잘하는 사람을 만나본적이 있는가? 단순히 일잘하는 팀장, 혹은 부장님들이 아닌 진짜 자기 분야에서 '정점'을 찍어본 사람을 말하는 거다 나는 2번정도 있었던거 같다 첫번째는 학교 선배특강에 오신 중견 건설기업 대표님과 새로운 서비스 인터뷰 준비를 위해 만난 중견 설비기업 대표님이다 이 두분은 자신의 힘으로 성공한 삶을 살고 있으셨다.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모든것에 호기심을 가지고 새롭게 배우려는 의지가 있으셨으며, 두분다 정말 최선을 다해 나를 도와주셨다. 마지막으로 특유의 눈빛이 있었다.. 특히 난 이 눈빛에 매료되었다 지금까지 어느 사람들에게도 보지못한 통찰력넘치는 반짝거리는 눈빛은 아직까지도 선명하게 기억한다.. 그나마 비슷한 눈빛을 꼽자면 우리들이 무언가에 정말 집중할때 나오는..
'회사놀이 좀 그만해라' '회사놀이 좀 그만해라' 이번주 들은 말 중 가장 긁힌 말이다.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나는 바쁘게 지내는걸 좋아한다. 솔직히 말하면 그래야 덜 불안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방향성 없이 무작정 바쁘게 지내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남들에 비해서는 참 바쁘게 지내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전공(경영학)과 복수전공(데이터사이언스) 공부, 프로젝트 1~2개, 영어공부, 운동, 2개의 동아리 관리를 디폴트로 깔고 여기다 업무(학교과제, 사람들의 부탁, 여러 행사 등등..)가 더해지는 방식이다 진짜 '제대로 바쁘게' 지내다 보면 성과가 나온다 2022년 5월 EY 한영에서 진행한 공모전 준우승 이후 지금까지 거의 참가하는 대회마다 상을 탄 거 같다. 물론 재수없게 들릴 수 있겠지만. 내가 절대 뛰어나서 이런 성과..
새로운 서비스를 어떻게 홍보할 것 인가 = 사람을 어떻게 모을 것인가 저번주에 말했듯이 우린 서비스를 기획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였다.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검증방식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지만 검증을 위한 초기 고객을 모으는 것은 너무나 막막했다. 일단 우리 서비스의 타겟고객 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초기 고객을 모으기 위해선 그들의 감성과 이성을 둘다 건드릴 줄 알아야 했다 우린 취업을 준비하는 특성화고 고등학생들이 주요 타깃이기에 그들이 어떤 감정(감성)과 고민(이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인터뷰를 통해 먼저 알아보기로 하였다. 고등학생 친구들을 인터뷰 하는 것은 참 쉽지 않았다... 애초에 만나는 것 자체가 힘들었다 때가 때인지라 학교에는 외부인의 접근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으며 게..
'특성화고 잡 플렛폼' 프로젝트 중간 회고 1편 실제로 보고싶다...! 내가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한 가장 큰 원인이다. 나는 지금까지 많은 공모전과 프로젝트를 하면서 상도 받고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고 있다. 상은 받을때마다 짜릿했지만 마음 한켠엔 아무리 내 아이디어가 상을 받아도 실제로 내 아이디어가 서비스에 적용된 적은 거의 없다는 것에 많이 실망했다. 실제로 내 기획서가 눈앞에서 실행되는 것을 항상 보고 싶었다.. 그러던 도중 학교에서 진행하는 지역상생 공모전 포스터를 보았다 흔한 기획서 공모전인줄 알았지만 예선만 통과한다면 실제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학교내 전문가 자문단의 도움과 지원금을 준다는 내용이었다.. 실행에 목말라 있던 나는 지역상생 동모전에 나가기 위해 바로 팀원을 구하기로 했다 팀원을 구하기 위해 가장 많이 고민했던 것은 팀원들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