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3)
회귀분석 시작 전 꼭 알아야 할 개념과 흐름 TV 광고를 많이 하면 정말 매출이 오를까?지금 매출 데이터를 보면, 다음 달에는 얼마나 팔릴까?이런 질문들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갈증에서 시작된다.지금의 현상을 더 잘 이해하고, 앞으로를 더 잘 예측하고 싶다는 욕구.회귀분석은 바로 이 두 가지 목적을 위한 도구다.이해하기 — 무엇이 결과에 영향을 주는가?예: 날씨, 요일, 위치, 광고비가 카페 매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예측하기 —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까?예: 광고비를 30만 원 쓸 예정이라면 예상 매출은 얼마일까? 현실의 질문을 수학적 모델로 바꾸는 과정,즉 회귀분석의 전체 흐름을 단계별로 소개하고 그 기본적인 아이디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각 단계에 대해 자세한 글은 추후 하나씩 적을 계획이다일단 지금은 이해보단 그 흐름과 용어에 익숙해 지..
통계적 유의미성의 판단: 가설검정과 검정 방법 총정리 10.0 Intro데이터를 보다 보면, 어느 순간 이런 질문이 생긴다:"이게 진짜 우연일까? 아니면 뭔가 의미 있는 차이일까?"예를 들어, 새로운 약을 썼더니 환자들이 더 빨리 나았다면, 그게 약의 효과일까, 아니면 그냥 운 좋게 그런 결과가 나온 걸까?이처럼 우리가 관찰한 결과가 ‘우연’인지 ‘의미 있는 차이’인지를 판단하는 게 바로 가설 검정(hypothesis testing)이다.표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가 세운 가설이 맞는지 틀린지를 판단하는, 즉 통계적 의미를 찾는 과정이다여러 가설검정 방법이 있지만 이번 장에서는 통계에서 특히 자주 쓰이는 가설 검정들을 정리해보려 한다.데이터를 다루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마주치게 되는 검정들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다.우리가 살펴볼 검정..
가설검정 : p-value로 통계적 의미를 해석하는 법 Chapter 09. 가설검정 (Hypothesis Testing): 연구자가 내린 주장(가설)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우리는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늘 질문을 던진다.“이게 정말 우연이 아닐까?”“눈에 보이는 이 차이가 ‘진짜’일까, 아니면 그냥 운이었을까?”가설검정은 바로 이 질문에 답하는 절차다.실험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을 때, 그걸 ‘믿어도 되는지’ 결정해주는 논리적 장치다.예를 들어, 어떤 약을 먹고 나서 평균 체중이 줄었다고 하자.이 결과가 단순한 우연인지, 아니면 정말 약의 효과인지를 판단하는 것 —그게 바로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의 역할이다.이 장에서는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검정하며,그 결과를 가지고 통계적으로 "기각할 것인가, 유지할 것인가"를 ..
“평균이 48.3%입니다”가 전부가 아닌 이유 8.2 신뢰구간우리는 지금까지 추정'값'(하나의 숫자!)(estimates)을 구하고, 그 불확실성(표준편차)까지 함께 제시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배웠고, Measurement Model을 통해 이러한 추정값들이 이론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이유도 확인했다. 추정이란 무엇인가 — 통계적 추론의 첫걸음8.0 Intro우리는 매일같이 불완전한 정보 속에서 판단을 내리며 살아간다. 날씨 예보를 믿고 우산을 챙길지 말지 결정하고, 친구들이 맛있다고 한 식당에 가볼지 고민한다. 이렇게 불완전한 정보nevermind22.tistory.com 하지만 하나의 숫자(점 추정)만 제시하는 것은 여전히 제한적이다.왜냐하면 우리는 모집단의 진짜 값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고, (4시에 도착해! 보단)단지 "이 정도 범위 안..
추정이란 무엇인가 — 통계적 추론의 첫걸음 8.0 Intro 우리는 매일같이 불완전한 정보 속에서 판단을 내리며 살아간다. 날씨 예보를 믿고 우산을 챙길지 말지 결정하고, 친구들이 맛있다고 한 식당에 가볼지 고민한다. 이렇게 불완전한 정보를 기반으로 무언가를 추론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과정, 이것이 바로 통계적 추론이다.통계적 추론은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제한된 표본을 통해 전체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 그리고 그 속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을지 판단하는 방법론이다.이 글에서는 통계적 추론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그 기본적인 아이디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8.1 추정의 기본적인 아이디어추정의 본질은 간단하다.“아는 것을 바탕으로, 모르는 것을 추정한다.”이 문장을 조금 더 뜯어보면,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P.M Must Read 03 : THE GO PRODUCT ROADMAP vol.02 1편 글 https://nevermind22.tistory.com/27 P.M Must Read 03 : THE GO PRODUCT ROADMAP vol.01 들어가기 전 처음 프로덕트 로드맵이란 단어를 접한건 프로덕트 전략에 대해 공부할 때 이다. 이때 너무나 많은 로드맵 방식이 있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몰라 주먹구구 식으로 접근한 적이 많 nevermind22.tistory.com 이상적인 프로덕트 목표를 찾는 올바른 방법은 제품전략으로부터 시작해 유저, 고객, 제품목표까지 세부적이고 구체적이며 측정가능한 목표로 나눌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것 에서부터 시작한다. 새롭게 만들어진 목표가 프로덕트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가설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이때 여러가지 목표를 세우는 것..
P.M Must Read 03 : THE GO PRODUCT ROADMAP vol.01 들어가기 전 처음 프로덕트 로드맵이란 단어를 접한건 프로덕트 전략에 대해 공부할 때 이다. 이때 너무나 많은 로드맵 방식이 있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몰라 주먹구구 식으로 접근한 적이 많다.. 이제는 조금 전문성있게 로드맵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백로그를 작성해보고 싶기에 로드맵에 대해 깊이있게 공부해 보고자 다음 글을 해석해보고자 한다. https://www.romanpichler.com/blog/goal-oriented-agile-product-roadmap/ The GO Product Roadmap This post provides an overview of the GO product roadmap: a goal-oriented, agile roadmap that effectively captur..
P.M Must Read 02 :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vol.02 이전 글 https://nevermind22.tistory.com/25 P.M Must Read 02 :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vol.01오늘 번역할 글은 이미 테크 씬에서 너무 유명한 명불허전 Ken Norton의 가장 유명한 에세이인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입니다. 구글에서 PM 으로 근무하면서 우리가 현재 쓰고있는 Google Docs, Google Calnevermind22.tistory.com3. 제품에 대한 본능적 직관과 창의성 제품에 대한 본능적 직관과 창의성은 매우 주관적이며 평가하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제품에 대한 직관이 천성적으로 있는 특정한 사람들이 있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