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글에는 루틴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면 이번 글은 계획한 루틴을 어떻게 실행하는 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루틴의 실행
1-1 루틴을 활용한 액션플랜 짜기
a. 월간 b. 주간 c. 일간
1-2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a. 지속력을 올리기 위한 조건 b. 조건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
1-3 실행력을 올릴수 있는 방안
a. 실행력을 올리기 위한 조건 b. 조건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
1-4 실제 사용 사례
1. 루틴의 실행
1-1 루틴을 활용한 액션플랜 짜기
a. 월간
매월 1일에 다음달의 계획을 작성하고자 하며 해당 달에 대한 평가는 말일(30, 31일)에 진행하고자 한다.
b. 주간
매주 일요일에 평가와 기획이 진행된다. 기획보다 평가를 먼저진행 함으로써 피드백이 반영된 주간 계획을 작성하고자 한다.
b-1 주간 기획를 할때 고려해야 할것
내가 하고싶은 일 중에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지 (2가지)
더 깊게 생각해야 하는것은 무엇인지 (2가지)
b-2 주간 평가를 할때 고려해야 할것
어떤업무에 얼마만큼 시간을 사용했는가
내가 집중하고 싶은 업무에 시간을 쏟고 있는가?
피드백 진행 -> 중요 업무 위주로 시간 재배치 진행
c. 일간:
매일 1시에 평가와 기획이 진행된다. 주간 계획과 마찬가지로 기획보다 평가를 먼저진행 함으로써 피드백이 반영된 주간 계획을 작성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08시에는 01시에 작성한 기획으로 구글 task와 캘린더를 작성한다.
1-2 지속성 (습관화)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a. 지속력을 올리기 위한 조건 :
모든 습관은 66일 이내에 습관화가 될지 결정난다고 한다. 따라서 어떻게서든 66일을 버티는 방안을 세우고자 한다
b. 조건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
내가 러닝을 습관화 할때 사용했던 방식을 벤치마킹 하였다.
b-1 점진적 증가
첫 러닝때 5km를 뛰는건 불가능에 가깝다. 만일 5km를 뛴다고 해도 아마 그다음 날이면 종아리 부터 무릎까지 온몸이 아파 습관화는 커녕 아무것도 하지 못할 것이다.
루틴또한 러닝과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마이크로하게 관리 한다면 습관화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습관화 초반에는 할일의 앞 뒤에 갭 타임 을 적극 활용하여 루틴에 대한 거부감 자체를 줄일 생각이다 이후 루틴 실행뒤 2주가 지나면 갭타임을 일주일에 30분씩 줄여나갈 계획이다.
b-2 기록
러닝을 습관화 할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했던 앱이 나이키 런 클럽이다 매일매일의 러닝을 기록하고 자동으로 러닝에 대한 피드백을 해주는데 기록이 쌓이는 것을 보고 그게 아까워서라도 계속해서 러닝을 이어나간 기억이 있다
따라서 66일동안 매일매일의 일과를 구글 캘린더에 기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b-3 기록을 공유
러닝을 하며 가장 뿌듯한 순간은 차곡차곡 기록이 쌓여 내가 지금까지 뛴 총 km가 증가했을 때다. 나의 경우 지금까지 700km를 뛰었는데 100km가 증가할 때마다 인스타에 게시물을 올린다. 이렇게 공유를 하면 친구들이 의도치 않게 나의 습관을 체크해 주는 관리자가 되는데 내가 러닝을 습관화 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앞서말한 66일간의 기록을 일주일에 한번 블로그나 인스타 계정에 올릴 생각이다.
1-3 실행력 올리기
a. 실행력을 올리기 위한 조건
a-1 내가 원하는 목표와 뱡향을 항상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a-2 현재의 달성 현황을 보고 자극을 받아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내가 지금 뭘 하고 있고 뭘 해야 할지 아는 사람의 실행력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천차 만별이다 따라서 원하는 목표와 방향 그리고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시각화 자료가 필요하며 이를 항상 관리할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b. 조건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
목표관리 시스템의 시각화
목표, 생각만 하지 말고 눈으로 확인하세요! 노션 목표 관리법(템플릿 제공)
목표, 제대로 세우고 있나요?
publy.co
차후 번외로 소개할 예정임
1-4 실제 사용 사례
이제부턴 실제로 내가 일주일간 테스트로 루틴을 사용한 사례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09/19 에는 시간표만을 사용하여 루틴을 제작했다. 시간표만을 사용하니 실제로 내가 시간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한 피드백은 얻을 수 없었다. 기획만 있고 실행에 대한 기록이 없었다. 특히 갭타임 관리가 생각보다 어려웠고 내가 생각한 만큼 시간을 쓰기가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시간 관리 아티클을 읽었고 구글 캘린더 사용법에 관한 아티클을 가장 흥미롭게 읽었다.
https://publy.co/content/6893?fr=chapter-text
일주일에 딱 10분!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게 만드는 시간 관리법(feat. 구글 캘린더)
업무 자율성이 수직 상승하는, 시간 관리법
publy.co
따라서 09/20 에는 시간표와 구글 캘린더를 같이 사용하기로 했다.
09/20일에 해당하는 원 계획표 이며 캘린더를 사용한 실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날 01시에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원 계획표를 작성하였고 08시에 기상하여 오늘 해야할 일을 구글 테스크(투두리스크)에
기록하였다
업무 기록을 위해 기록에 관한 원칙을 정했다.
1. 업무 시작전 캘린더에 일정 입력
2. 스톱워치 작동후 업무 시작 : 업무하는 동안 핸드폰을 안보는 효과도 있다
3. 업무 시간 종료 입력
이렇게 완성된 캘린더는 다음과 같다.
캘린더의 오른쪽에는 내가 앞으로해야할 투두 리스트에 대해 적어 놓았고 왼쪽은 실제로 내가 사용한 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캘린더를 같이 사용하기 시작하니 내가 시간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쓸데 없는 곳에 사용하고 있었고 시간기록하기 시작하니 시간을 의식하며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주일간 테스트를 시행해 보며 루틴을 시용하기 전보다 굉장히 시간사용 효율이 좋아졌다. 다음주에는 일주일간 본격적으로 루틴을 사용한 후기와 이를 어떻게 피드백에 적용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며 지금까지의 내용을 간단 하게 총 정리하여 글을 읽는 여러분들로 하여금 실제로 사용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내 꿈은 일잘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저 인터뷰 총정리 2탄, 실전에 적용할 포멧 만들기 (0) | 2023.07.17 |
---|---|
유저 인터뷰 총정리 1탄, 유저 인터뷰 기초 개념과 인터뷰 준비 (1) | 2023.07.09 |
좋은 회의란 (0) | 2023.02.22 |
시간관리 3부작 3편 (0) | 2022.10.03 |
시간관리 3부작 1편 (1)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