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vermind22.tistory.com/23
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1
P.M Must Read 새롭게 시작한 컨텐츠다..! 세상에는 정말 좋은 블로그들이 많다. 하지만 대부분 원문으로 되어 있어서 읽을려고 다짐해도 귀찮아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금은 영어공부와
nevermind22.tistory.com
검증된 전략이 마련되어 있으면(그림 2를 통해 전략을 검증) 우린 이제 실현가능한 제품 로드맵을 구축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림 1의 로드맵은 향후 6-12개월 동안 프로덕트 전략의 실행을 설명하며 제품이 달성할 특별한 이점을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주주와 개발팀을 조율(aligns)한다.
효과적인 프로덕트 로드맵은 제품목표, 즉 제품이 만들어낼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된다. 예를 들어 “건강한 음식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의 로드맵은 “유저들이 그들의 식습관을 이해하고 초기 사용자 집단을 확보한다” 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로드맵은 데드라인, 세분화된 기능, KPI가 포함 될 수 있으며(포함 되어야 만 한다)
데드라인의 경우 목표가 달성되어야 하는 시기를 명시하며
세분화된 기능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아웃풋을 설명한다
KPI의 경우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프로덕트 로드맵은 프로덕트 목표의 기반이 되며 프로덕트 백로그(로드맵의 구체적인 액션스텝, 할 일 이라 생각하면 좋을 거 같다)나 올바른 프로덕트 전략의 결정의 훌륭한 바탕을 제공한다. 단순히 다음 목표를 복사하여 백로그에 붙여 넣은 뒤 Epjhpics, user stories, workflow diagrams, sketches, mock up 그리고 NFRs 를 추가하면 된다 (물론 백로그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건 다른 차원이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는 에자일 방법론과 함께 차후 정리하도록 하겠다)
비전에서 백로그로 옮겨 감에 따라 의사결정은 점점 구체화 될 것이며 상위목표는 점점 구체화되고 집중적인 목표로 전환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비전이 -> 니즈와 -> 비즈니스 목표로 변화되며 이로부터
비즈니스 목표는 프로덕트 백로그의 아이템으로(NFRs 와 같은) 파생된다 추가적으로 로드맵에서 작성한 타임라인은 점점 짧아지게 된다 (10년짜리 비전이 몇 개월 치의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으로 변화한다)
Two Templates
추가로 저자가 제안한 모델의 4가지 항목들의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다. 프로젝트 비전보드와 Go 프로덕트 로드맵이 그것이다. 이 포맷들은 너가 프로덕트 비전이나 전략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음 웹사이트에서 템플릿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2개의 비디오를 통해 어떻게 적용시키는지를 알 수 있다.
https://www.romanpichler.com/tools/
관련 비디오
A Cyclic Process
모델 1번을 통해 프로덕트 플랜의 시작은 비전 설정으로부터 시작되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비전과 전략은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프로덕트 백로그가 크게 변경이 된다면 프로덕트 로드맵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당연하게도 프로덕트 로드맵의 큰 변화는 프로덕트 전략을 바꿀 수 있으며 만약 당신이 검증된 프로덕트 전략을 찾지 못하면 너는 프로덕트 비전을 포기해야 할 것이다.
그림 3은 이런 전략과 실행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그림 1의 프로세스적 관점을 제시한다.
그림 3에서 프로덕트 전략은 개발되고 검증된다. 검증된 전략은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프로덕트 로드맵의 개발의 기반이 되며, 프로덕트 로드맵은 프로덕트 백로그와 적절한 백로그 아이템들을 찾는데 방향성을 제시한다. 개발과 검증의 반복과 초기 이해관계자들의 피드백은 올바른 백로그를 찾고 이를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점진적인 프로덕트의 개발에서 릴리스 번다운 차트를 활용하여 개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개발이후 제품이 출시되면 KPI를 통해 제품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전략과 로드맵을 조정하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어떻게..?)
따라서 저자의 모델은 전략과 실행이 전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략적 결정은 프로덕트 백로그를 완성시키며 실제 업무에서의 인사이트는 로드맵과 전략을 변경시킨다. 이것은 일관된 의사결정을 보장하며 전략과 실행이 분리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최악의 상황에서 이러한 간극은 개발팀이 완전히 다른 제품을 개발하게 할 수 있다. (생각만 해도 어지럽다)
Teamwork
당신의 전략이나 로드맵이 얼마나 잘 짜여 있는지는 상관없이. 너의 개발팀이나 이해관계자들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따라서 효과적인 프로덕트 전략은 이해관계자와 개발팀이 구매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본인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전문성을 활용해야 한다.
저자의 모델은 워크샵의 형태로 개인이 만들고 업데이트한 계획을 적어도 3달에 한번씩 포함시켜 목표를 달성한다.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 프로덕트에 책임이 있는 사람은 전략 워크샵과 올바른 의사결정을 만들어 내고. 스크럼 마스터 혹은 에자일 코치의 경우 모든사람이 참여하고 어느 하나가 큰 목소리를 가지지 않도록 세션을 구성해야 한다.
'기획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Must Read 03 : THE GO PRODUCT ROADMAP vol.02 (1) | 2024.03.23 |
---|---|
P.M Must Read 03 : THE GO PRODUCT ROADMAP vol.01 (0) | 2024.03.03 |
P.M Must Read 02 :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vol.02 (0) | 2024.02.25 |
P.M Must Read 02 : How to Hire a Product Manager vol.01 (1) | 2024.02.11 |
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1 (2)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