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Must Read 01 :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vol.01
P.M Must Read
새롭게 시작한 컨텐츠다..!
세상에는 정말 좋은 블로그들이 많다.
하지만 대부분 원문으로 되어 있어서 읽을려고 다짐해도 귀찮아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금은 영어공부와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기에
이둘을 동시에 할수 있는게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이 컨텐츠를 생각했다.
컨텐츠는 아주 단순하다..
내가 직접 큐레이션한 PM으로써 읽으면 좋은 글들을 번역하고
이에대한 나의 생각을 덧붙이고자 한다. (말이 큐레이션이지 그냥 번역싸게다.. )
번역을 하는데 있어 괄호안에 있는 글은 나의 사견임을 밝힌다
첫번째 블로그는
Expert Training and Consulting in Product Management
Find out how Roman Pichler's product management training courses, books, blog, podcast, and tools can benefit you.
www.romanpichler.com
프로덕트 블로그계의 바이블이라고도 불리는 이 블로그는 구글로 검색하면 광고없이도 매번 상단에 위치하는 유용한 블로그다. 상품을 개발하고 만드는 과정에 관한 유익한 글도 많지만, 그가 팀을 꾸리고 키우고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배운 여러가지 경험과 지혜를 공유해 더더욱 유명해진 블로그 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첫번째 글은 프로덕트 전략에 관련한 글이다
<본문 시작>
https://www.romanpichler.com/blog/my-product-strategy-model/
Roman's Product Strategy Model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oduct strategy model Roman has developed to make effective strategic decisions and achieve product success.
www.romanpichler.com
Read more at: https://www.romanpichler.com/blog/my-product-strategy-model/
Copyright © Pichler Consulting
PRODUCT STRATEGY MODEL
제품 성공을 위해서 올바른 전략적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만약 제품의 가치제안이나 특별한장점이 확실하지 않으면 비즈니스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학부 1년때 포터의 5forces, SWOT을 주구장창 시키는데는 이유가 있다... ) 그럼 실제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교과서 같은 전략이 사용될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더 나쁜 상황이다. 저자는 많은 프로덕트 팀이 제품전략을 만들거나 진화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품 전략 모델이 부족했고. 이 글을 통해 저자가 직접 개발한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Model
효과적인 제품전략이란 제품을 성공적으로 만들고 향상시키고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따라서 제품 전략 없이 제품 세부사항을 적거나 유저 스토리를 적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럼 도대체 제품전략이란 무엇인가? 제품 로드맵과 제품 전략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제품 비전과 백로그는 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종류가 이렇게 많은지 처음 알았다..) 이런 질문에 대해 답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모델을 개발하였다
Four Artefacts
그림 1 모델의 핵심은 4가지 모델에 있다. the product vision, the product strategy, the product roadmap, 그리고 the product backlog가 그 핵심이다.
1. the product vision
제품 비전이란 제품이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 이를 만드는 궁극적 이유와 목적을 설명한다. 이는 제품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해관계자, 주주, 개발팀 etc)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안내하는 북극점(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추구해야할 바뀌지 않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사람들의 식습관을 발전시키기 위한 제품을 제공한다고 가정하면. 이때 제품 비전은 "사람들이 건강하게 먹는걸 돕는다"가 될 수 있다.
2. The product strategy
제품 전략은 비전을 실현하고 성공적으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접근방식을 전달하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선 4가지의 중요한 선택을 해야한다
1) Need
제품이 해결해(제공해)줄수 있는 니즈를 정의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예시를 활용하자면 우리가 제공하는 건강한 식단은 2형 당뇨병 발병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2) Market
시장과 시장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 : 즉 제품을 통해 혜택을 얻을 사람들을 정의해야 하며, 위의 설명한 예시를 활용하자면 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큰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진 중년 남성이 타겟이 될 수 있다
https://careerly.co.kr/comments/63800?utm_campaign=user-share
Gus Bahng / [우리회사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고객을 세분화하는 방법]... | 커리어리
[우리회사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고객을 세분화하는 방법] 제가 미국에서 일하면서 주위 동료들에게 가끔 이런 질...
careerly.co.kr
3) Stand-out features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뛰어난 기능에 대한 정의 : 위의 예시를 활용하자면 "음식의 설탕 수준을 측정하고 기록" "식습관을 분석하고 개별 추천식단 제안" "스마트 저울과 원활하게 통합" 이 있을 수 있다
4) Business Goal
제공되는 제품이 회사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현실적인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한다. 이것은 브랜드를 개발하고 새로운 지식을 얻는것 외에도 재무적인 목표나 수익 목표가 포함된다.
이렇듯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위와 같은 선택에 답을하면 다른 제안이나 아이디어에 대해 거절을 해야 한다. (모든 선택지를 가지고 위의 질문에 답변할수는 없다) 예를 들어 적어도 지금은 섭식장애를 가진 청소년을 제품에서 다루지 않을수 있다(성인들의 2형 당뇨병에 집중) 이렇듯 제안을 거절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지만 전략적 의사결정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다. 모든 사람들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제품은 그 누구도 만족시킬수 없다. 또한 제품의 성공을 위한 기회를 최대화 시키가 위해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중요한 변화를 거친 전략들은 검증되어야 하며 그리고 그 대표적인 예시가 그림 2 이다. 그림 2는 반복적인 방법을 통해 가정과 리스크 들을 체계적으로 해결할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다음주는 그림 2에 대한 해석을 계속하도록 하겠다
p.s 생각보다 passive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